본문 바로가기

Cambodia_Agri93

캄보디아 농업생산현황 2020과 분석 2021/06/23 13:12 2021년 4월 발간된 '캄보디아농업국 연례보고서 2020 및 이전의 자료를 분석하면 1. 작물분야 벼 재배면적은 3,404,131ha으로 2019년 보다 75,285ha 증가했다. 벼 생산량은 10,935,619톤이고 자연손실분과 국내수요량을 제외한 잉여벼는 5,922,136톤 (정미기준 3,790,167톤)이다. 지난해 정미 약 60만톤 수출하여 여전히 많은 양의 쌀이 남아도는 것을 알 수 있다. 베트남에서 자스민85와 OM2490의 교잡종인 OM5451품종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여 베트남 국경 지역에서는 물벼(Paddy)로 수출되는 물량 역시 증가하고 있다. 상업작물(부작물) 재배면적은 986,543ha (옥수수, 카사바, 고구마, 채소, 녹두, 땅꽁, 대두, 참깨, .. 2023. 3. 23.
농지의 국유화 2021/08/02 12:36 생산감소와 가격상승 최근 몇년 사이 국내 축산농가에서 ASF와 AI 등으로 농장들이 어려움을 겪고 생산이 줄었다. 올해 폭염과 겹치면서 축산농장들의 폐사가 이어지면서 이는 시장에서 공급부족으로 인한 가격상승으로 나타나고 있다. 게다가 지난해 이례적인 벼 생산량 감소로 지금까지 100% 초과 달성한 쌀 수급에도 차질이 생겼다. 절대농지면적은 줄어들고 농지의 가격이 더욱 상승하고, 또 고령영농인구가 농업을 포기하면서 그 빈자리를 젊은 농업인력이 대체해야 하지만 귀농이 쉬운 일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농업생산성이 증가하더라도 절대농업인구와 농지면적이 감소하면 그만큼 생산이 뒷받침되기 어렵다. 스마트농장에 줄이어 투자하고 있지만 일정부분은 노동력이 반드시 있어야 하기 때문에 관행농업.. 2023. 3. 22.
Uraria lagopodioides, 캄보디아 야생화 2021/11/05 08:37 Uraria lagopodioides (Linn,) Desv. Ex. Dc. 줄기가 60cm까지 자라는 콩과식물로 해발 900m이하의 남중국,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인니, 필리핀호주 등지에 서식한다. 그 때문인지 영어명은 없고 우리말로도 명칭이 없다. 캄보디아어로는 'កន្ទុយកំប្រុក 껀뚜이 깜쁘록' Medical Plants of Cambodia에 따르면 식물체 전체는 이질, 호흡계통, 류머티증, 발열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참고 http://tropical.theferns.info/viewtropical.php?id=Uraria+lagopodioides 2023. 3. 22.
캄보디아 기후변화 2021 2021/11/21 22:54 1. 캄보디아 기후현상 캄보디아는 고온의 열대기후로 몬순우기(5~10월)와 건기(11월~4월)의 두 계절로 나뉜다. 몬순우기에는 연중 강우량의 80~90% 비가 내린다. 2의 지역 구분에 따라 지역적으로 강우량은 1400~2000mm로 내린다. 평균기온은 전국에 걸쳐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나지만, 우기 직전에 32도의 최고 온도를 보이고 우기 중에는 25~27도를 나타낸다. 엘니뇨 현상으로 따뜻하고 건조하게 되고, 라니냐현상은 시원한 공기를 공급한다. 캄보디아 연평균 기온은 25~27이지만 최고 기온은 38도까지 올라가고 최저기온은 17도까지 떨어질 수 있다. 1960년대 이후로 10년마다 0.18도가 상승했다. 건기인 11~4월에는 급속히 상승하여 10년마다 0.20~0.2.. 2023. 3. 21.
2021년 캄보디아 농업 분석 2021/12/28 12:59 2021년은 지속된 코로나 팬더믹의 영향으로 캄보디아의 농업은 뚜렷한 변화는 없었다. 다만 2021년 11월을 기점으로 위드코로나가 실시되고 포스트코로나에 대한 기대로 다양한 농업생산증대를 위한 정책과 각계의 목소리가 늘어나고 있다. 2021년 게재된 언론기사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생산, 쌀 수출2021년 1~11월 쌀 수출은 532,179톤으로 예년보다 약 7만톤 가량 감소한 상황이다. 수출 도정미의 70%는 장립향미품종이다. 반면 베트남으로의 산물벼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은 주로 메콩강 하류 지역의 캄보디아-베트남 국경지대의 IR계열 중단립벼를 수입하고 있다. 한편 캄보디아는 캄-중 FTA의 결과로 2021년 40만톤의 수출쿼터를 받았지만 .. 2023. 3. 21.
2021년 캄보디아 기상현상 분석 2022/01/17 13:14 1. 기상자료 공개 우리나라도 이제야 공공데이터 개방성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긴 하지만, 캄보디아는 정말 개방을 안해준다. 자료가 없는게 아니라 돈을 주고 사야한다. 웃기게도 해외원조를 받아서 수치를 만들었는데도 개방 안해 준다. 오늘 찾은 기상자료는 AWS자동기상대를 클라우드에 업로드하고 개방한 것이다. 온습도와 강우량 등 제한적인 정보만 나오지만 기초환경을 파악하기에는 유용하다. UNDP의 지원으로 ADCON TELEMETRY라는 기상정보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다. 캄보디아 내 23개지역에 기상대가 설치돼 있다. http://110.74.207.107:8080/livedata/map.jsf?units=metric 물론 이외에도 PWS개인용기상대를 클라우드에 연결해서 쓰는.. 2023. 3. 21.
작은 개선은 비용을 줄이고 효율을 높인다. 2022/01/22 13:19 며칠 전 농장 인근에서 곡물이송기로 벼를 상차하는 것을 봤다. 카사바, 벼를 많이 재배하는 북서부지역에서는 컨베이어 같은 이송기를 종종 봤지만, 이 지역에서는 처음봤다. 개도국 농업이 저임금, 낮은 지대, 넓은 면적 등을 기반으로 운영된다고는 하지만, 노동력의 원천은 인간이다. 누구나 육체적으로 힘든 일은 피하고 싶은게 당연하다. 아주 역사가 오래되고 간단한 이송장치가 있으면 일률도 높이고 비용도 크게 줄일 수 있다. 물론 이런 장치를 쓰려면 수확, 중간지 이동, 가공시설 하차 설비까지 연결되어야 한다. 농산물 운송체계의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이런 변화를 통해 노동집약적 농업에서 조금씩 탈피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 캄보디아 농업이 바뀌어 가는 현상을 한국에서 몸소 겪은 .. 2023. 3. 21.
캄보디아 두리안 2022/01/27 17:04 예전에 시장조사를 하면서 어디엔가 기록을 남긴 줄 알았는데 기록이 없어서 새로 작성. 캄보디아 두리안 품종에 대한 문의가 있어서 짧게 답을 했다. 2019년 시장 조사를 했을 때 묘목 가격이 9불/주까지 상승했는데, 기존에는 7불 선이었다. 중국인의 엄청난 두리안 사랑과 함께 캄보디아 역시 중국인 수요가 늘어나면서 두리안과 묘목가격이 상승했다. 후추와 함께 깜폿 두리안은 GI인증을 받아 그 명성을 더하고 있는데, 지리적으로 볼 때 태국 남부 지방이 같은 위도대에 있고 깜폿-시하눅빌-꼬꽁 그리고 태국의 뜨랏, 꼬창의 해안지역에 두리안 재배가 많이 있다. 풍부한 강우량과 해풍의 도움으로 우수한 품질의 두리안이 재배되는 것 같다. 물론 캄보디아에서는 깜퐁참, 바탐방 등 농업이 발.. 2023. 3. 21.
2021년 캄보디아 쌀 수출 현황 및 농산물 수출 전망 2022/02/13 12:02 2019년 기준 캄보디아 벼 생산량은 10,885,733톤으로 식량, 종자용을 제외하고 남는 양은 576만톤에 이른다. 이 때문에 캄보디아 정부는 100만톤의 쌀 수출이 오래된 목표였다. 2015년부터 쌀 수출량은 급격히 증가하여 2014년 38만톤 2015년 53만톤 2016년 54만톤 2017년 6만톤 2018년 62만톤 2019년 62만톤을 수출했다. 2018년과 2019년에 수출이 주춤한 것은 유럽의 캄보디아, 미얀마산 장립백미에 대한 관세부과의 영향이 있다. 그리고 2020년에는 팬더믹의 영향으로 수요가 급증하여 69만톤을 수출한 뒤, 2021년에는 물류비의 증가 등으로 수출이 다소 감소한 61만톤에 그쳤다. 2022년부터 유럽의 관세부과가 철폐되면서 유럽 수출이 .. 2023. 3. 21.
식민지형 해외농업을 운영하는 중국기업 2022/03/28 19:01 지속가능한 농업을 고민하는 농업인의 한사람으로서 이런 문제는 낯 뜨겁지만 다루지 않을수가 없다. 수탈형, 식민지형 농업이 얼마나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수많은 임금농을 양성하여 오히려 농촌이 피폐해지는 결과를 만들게 되는지 이 사례에서 여실히 알 수 있다. 원문기사는 China wants bananas. Cambodia’s banana workers, exporting mainly to China, are getting sick, blaming the chemicals they use. But no one is listening 를 참고하기를 바란다. https://www.scmp.com/magazines/post-magazine/long-reads/article/317179.. 2023. 3.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