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mbodia_Agri93

2021년 캄보디아 농축수산업 생산 현황 2022/04/13 10:59 아래의 자료는 캄보디아 농업부에서 발간하는 MAFF Annual Report 에서 자료를 뽑았고, 매년 반복해서 말하지만 각 지역에서의 자료취합, 농업부에서 자료취합 과정에 오류가 많다. 특히 보고서 자체에서도 오류가 있기 때문에 100% 신뢰하기 보다는 추세 정도를 읽는다고 생각하면 좋다. https://elibrary.maff.gov.kh/book/623933d233e7d 2019년 현재 캄보디아 인구는 15,552,211명이고 인구당 GDP는 1,561불이다. https://www.nis.gov.kh/index.php/en/12-publications/15-agriculture-census-in-cambodia-2013-final-result 2021년 캄보디아는 총 .. 2023. 3. 20.
케이폭, Kapok, Cotton tree 2022/04/20 12:18 캄보디아에서 길을 가다보면 뜬금없이 나무에 흰색 덩어리가 달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영어로 Cotton tree 목화나무라고 불리는 Kapok 케이폭 나무다. 캄보디아 주요 섬유작물 중 하나로 흔하지만 집중적으로 생산되는 것은 아니어서 황마나 목화, 실크처럼 생산량이 통계로 보고 되지는 않는다. 생산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주로 가정 내에서 배게, 방석 등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또 초본성인 목화와는 달리 나무로 영년생이기 때문에 매년 수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반면 나무에 메달리기 때문에 수확와 수집이 쉽지는 않다. 케이폭은 쌍떡잎식물 아욱목 목화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아메리카 열대지방 원산이며,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에 퍼져있다. 높이는 17~30m에 달라고 가지가 수평으.. 2023. 3. 20.
캄보디아 젖소농장, Dairy farm in Cambodia 2022 2022/05/25 13:15 0. 요약 :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경제도 성장하고 있지만 먹거리의 다양성은 여전히 취약하다. 성인들은 더 좋은 먹거리를 찾기 위해 부족한 물고기 대신 육류 소비를 늘리고 있다. 성인과 함께 영유소년도 유제품을 많이 소비하지만, 냉장유통의 한계로 신선유의 유통 보다는 가공유, 우유 발효제품의 운송이 용이하다. 반면 코로나가 지나가고 인구의 절반에 가까운 관광객이 다시 들어오면 각종 유제품의 수요가 동반하여 폭증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내수 생산 가능한 젖소는 1,000두 이내로 여전히 부족하여 많은 양의 유제품을 태국, 베트남에서 수입하고 있다. 낙농업이 더 성장할 기회는 있지만 농장에서 소비지까지 얼마나 신선하게 운반하고, 가공유 수입을 어떻게 대처할지가 관건이다. 1... 2023. 3. 20.
캄보디아 마카다미아 생산과 세계 소비량 2022/06/27 15:36 1. 캄보디아 마카다미아 특정한 집단의 농작물들은 재배환경이 비슷하다. 카사바, 밀, 옥수수, 대두 등 혹은 커피, 후추, 캐슈넛, 고무 등. 그래서 농민들은 작황과 시황에 따라 작물을 바꾸는데 앞에 언급한 작물들은 최대 1년이지만 뒤에 언급한 작물들은 최소 3년 후에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종을 바꾸는 것은 큰 결정이 된다. 최근 시장상황이 바뀌면서 캄보디아에서는 약 10만ha의 캐슈넛 나무가 베어졌다는 기사가 있었다. 주 수출국이던 베트남의 수입이 감소한 여파도 있고, 농촌인구가 감소하면서 노동력 투입 대비 단가가 낮은 작물을 포기하게 된 것이다. 캄보디아에서 캐슈넛과 고무를 대체하는 작물은 코코넛과 마카다미아로 바뀌는 모습이 보인다. 1) 라타나끼리 마카다미아 202.. 2023. 3. 20.
캄보디아 농업 노동력 환경의 변화 2022/07/21 15:15 다른 자료들을 보다가 생각나서 정리하는데, 농업부문 고용은 8억 7천만 명이지만 전체 지역에서 농업 고용 인구는 감소하고 있다. 반면 저소득 국가에서는 인구의 63%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그리고 저소득 국가의 농업종사자 90%는 농업 생산에 참여하고 나머지는 농업서비스 부문에 종사하고 있다. 캄보디아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농업 인구는 2019년 35%이다. 150만 호의 농가가 있는 것을 감안하면 농업 인구 중 작물생산을 위한 농업회사에 종사하는 인구는 이 비율보다 적을 것이다. 1600만 명의 인구 중 수도인 프놈펜 거주자는 157만이고 주요 농업 지역인 바탐방의 거주 인구는 15만 명으로 10%가 채 안된다. 결론적으로 농지 면적은 더이상 늘어나지 않고.. 2023. 3. 17.
프놈펜 메콩강 수위와 강우량 변화 2022/10/13 10:37 메콩강위원회의 자료를 통해서 꾸준히 강우량과 강수위를 모니터링 하고 있었는데 지금 보니 홈페이지가 완전 개편되면서 각종 지표들을 보기 좋게 정리되었다. 이 중 Prek KDam station은 뚼레삽강이 프놈펜으로 진입하는 지점에 있기 때문에 프놈펜의 강우 현상이나 메콩강에서 바삭강으로 분기되고, 뚠레삽으로 역류하는 물의 양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곳이다. 또한 상류지역 강우현상은 물공급 뿐만 아니라 하류지역의 기상현상에도 영향을 미친다. 캄보디아는 주변 대양 뿐만 아니라 태국 중국 등 내륙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라오스, 태국, 중국의 기상현상이 캄보디아 지역 내 강 수위 뿐만 아니라 기상 현상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메콩강의 수위 변화는 여러모로 관심을 갖게 한.. 2023. 3. 17.
세계 두리안 산업 2022/11/10 13:14 1. 두리안의 특징 두리안의 원산지는 말레이열도로 알려져 있고,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호주에서 재배된다. 말레이어로 Duri는 가시 Thorn이라는 뜻이다. https://www.durianharvests.com/durian/ 두리안은 열대과일의 왕이라고 불릴 만큼 대표적이고 특징적인 열대과일이다. 특히 과일 하나가 1~3kg에 달하고 크고 뾰족한 가시는 멀리에서도 알아볼 수 있을 정도이다. 게다가 두리안 특유의 짙은 황 냄새는 아무리 꽁꽁 싸 매 놓더라도 금방 눈치챌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하다. 식물의 냄새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발생 조절인자인 MGL에 의해 결정되는데 두리안의 MGLb는 메티오닌을 분해하여 황을 포함한 냄새분자로 뿜어내게 된다... 2023. 3. 17.
캄보디아의 산림 관리 및 목재 거래에 대한 법적 프레임워크 2022/11/17 16:38 매년 캄보디아에서 나는 침향목, 흑단, 자단 혹은 숯을 구매하려는 한국업체들이 문의를 한다. 기본적으로 조림되지 않은 나무, 가공되지 않은 나무는 수출이 불가능하다. 예전에는 대나무는 예외였으나 이제는 대나무도 해당된다. 게다가 내수용 화목이 절대 부족한 상황으로 전국의 산이 황폐해지고 있다. 하지만 고무나무처럼 식재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잘라내어야 하는 임목들은 주기적으로 산지에서 구할 수 있는데, 현재는 화목으로 사용된다. 이하는 "캄보디아의 산림 관리 및 목재 거래에 대한 법적 프레임워크" (구글 번역이므로 이해가 어려울 경우 원문을 보거나 별도 문의 바람) https://www.timbertradeportal.com/en/cambodia/160/legal-framew.. 2023. 3. 17.
캄보디아 채소 증산을 위한 노력 2022/12/05 16:28 페이스북에 쓰다가 오류나서 블로그에 씀. COVID19 봉쇄 기간 동안 캄보디아 식량안보 분야에서 가장 큰 논의는 채소 공급이 아닐까 싶다. 벼 생산량은 진작에 내수 수요의 2배가 넘어 수출 증진이 목표가 된지 오래되었다. 인구 증가와 함께 식습관의 변화로 채소 소비가 늘었지만 여전히 내수 공급은 부족해서 프놈펜 기준 하루 200톤의 채소가 수입된다는 통계가 있다. 프놈펜을 제외한 다른 지역까지 감안하면 당연히 훨씬 많은 양의 채소가 부족하다. 이 때문에 캄보디아 정부는 갖가지 채소 생산량 증대를 위한 정책을 발표했고, 각국 원조기구와 NGO들은 다양한 증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소의 증산은 쉽지 않은데 이는 벼, 옥수수 등의 식량작물과는 다른 재배.. 2023. 3. 16.
캄보디아 농업현황 2022, 농업전망 2023 2023/01/03 10:58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캄보디아는 중국 의존도가 높은데 갈수록 더 의지하는 모습입니다. 2021년과 2022년 모두 중국(일부 베트남도 해당)에 의존적인 수출품목은 수출하락세가 뚜렷하여 생산농가에 직접적인 피해를 줬습니다. 뒤늦게 가공에 투자하는 모습이 보이지만 국제적으로 인지도가 낮아서 당분간은 수출이 부진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3년 상반기에 경유, 비료 등 농업생산의 핵심요소의 가격이 2022년 말과 비슷하게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어 당분간은 농업생산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기에는 어려워 보입니다. 반면 내수시장에서 우수농산물 특히 채소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관련 투자는 꾸준히 늘고 있으며, 다른 작목에 비해 소규모 투자가 가능해서 진입 장벽이 낮은 잇점이 있습니다.. 2023. 3. 1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