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1

농지의 국유화 2021/08/02 12:36 생산감소와 가격상승 최근 몇년 사이 국내 축산농가에서 ASF와 AI 등으로 농장들이 어려움을 겪고 생산이 줄었다. 올해 폭염과 겹치면서 축산농장들의 폐사가 이어지면서 이는 시장에서 공급부족으로 인한 가격상승으로 나타나고 있다. 게다가 지난해 이례적인 벼 생산량 감소로 지금까지 100% 초과 달성한 쌀 수급에도 차질이 생겼다. 절대농지면적은 줄어들고 농지의 가격이 더욱 상승하고, 또 고령영농인구가 농업을 포기하면서 그 빈자리를 젊은 농업인력이 대체해야 하지만 귀농이 쉬운 일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농업생산성이 증가하더라도 절대농업인구와 농지면적이 감소하면 그만큼 생산이 뒷받침되기 어렵다. 스마트농장에 줄이어 투자하고 있지만 일정부분은 노동력이 반드시 있어야 하기 때문에 관행농업.. 2023. 3. 22.
식물잡종강세의 원인 2021/08/04 22:35 식물학이나 작물학을 배우면서 유전학까지 넘어가면 잡종강세를 반드시 배우게 된다. 우생학에서는 순종이 우수하다고 가르치지만 자연계에서는 잡종이 훨씬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잡종강세의 원인이 밝혀지는 최근 자료를 보기 전까지 전공자들도 잡종강세는 현상으로만 받아들이고 그 이유를 이해한 적은 없었다. 2013년 한 자료에서도 잡종의 유전형질이 순종형질에 비해 성장, 스트레스 내성, 적응에서 촉진된다는 실험결과만 이야기하고 있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KAR2013067523 표현형을 지나서 분자형에서도 그 실체를 밝혀내지 못한 것이다. 아... 잡종강세란 잡종강세(heterosis)하이브리드의.. 2023. 3. 22.
전문가가 되는 과정 2021/08/09 12:50 직업의 영역에서 어떤 직업군을 우리는 전문직이라고 부른다. 의사 법조인 운동계 등 다양하지만 한편으로 일상에서 흔하지는 않다. 그외 직업군에서 회사에 속해 급여를 받는 모든 직장인 역시 전문성이 없는건 아닐텐데 왜 전문직이라고 부르지 않을까. 평범한 회사에 다니더라도 전문성을 인정받는 전문가가 되는 방법을 생각해 보자. 전공과 직업 뇌피셜로 80% 이상의 대졸자들이 전공과는 무관하거나 동떨어진 직업을 선택하고 종사하게 될 것이다. 전공을 더 활용하기 위해서는 석사나 박사 등 추가의 학위과정을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사회에서는 박사를 졸업할 경우 대체로 해당 전공의 전문가로 인식한다. 물론 박사까지 마쳤더라도 전공과 직업이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적어도 전공과 직업이.. 2023. 3. 22.
옥수수 시럽이 비만을 유도 2021/08/25 22:14 [바이오토픽] 식품 속의 과당(fructose)이 비만을 유도하는 메커니즘 규명 출처: [BRIC Bio통신원] [바이오토픽] 식품 속의 과당(fructose)이 비만을 유도하는 메커니즘 규명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news&id=333968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news&id=333968&Page=1&PARA0=24&fbclid=IwAR0i-yYvZEZ0sso9WdIx8nqvXZZHFhZpnropxUVMls_CJGhbviaPJOtFacQ 본 연구의 내용은 고농도의 옥수수시럽은 소장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식이영양 섭취 증가와 체중 증가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이.. 2023. 3. 22.
북한 농업개혁의 현황과 전망1 2021/09/09 22:41 남북한이 통일이 되든 서로의 체제를 인정하고 공존의 길을 모색하게 되면, 북한에 우선 필요한 것이 식량과 농업이라고 생각한다. 학부시절 학번이 10년 이상 나는 선배들도 입학할 때 북한농업에 대한 꿈이 있다고 들었다. 금강산 개발사업부터 지금까지 시류에 따라 남북경제협력은 희비가 엇갈렸다. 북한 정권의 정당성과는 별개의 민중의 삶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남북교류는 갈수록 더 절실해 질 것이고, 그 때 내가 도움이 될 수 있으면 좋겠다. 농업과 농촌개발 분야에 종사하면서 작물을 뛰어넘는 다양한 경험들을 했다고 생각했지만, 동아시아 농업과 인구이동의 흐름을 보면서 지식의 부족을 많이 느꼈다. 앞으로 혹시 북한농업개발사업에 참여하게 될 때를 준비해서 틈틈히 북한 농업을 정리하고자 한.. 2023. 3. 22.
인류 생존과 가축 2021/09/24 11:36 인간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된 계기는 유목 생활에서 정주생활을 시작한데 있다. 유목의 장점은 식량을 지속적으로 구할 수 있지만 반대로 안전한 거처가 없기 때문에 포식자들에게 노출되고 아이를 낳고 키우는데 어려움이 있다. 최초의 집단정주생활은 수렵채취와 함께 되었다고 보는데, 한 곳에 머무르면서 인구가 늘어나게 되자 차츰 농경으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잉여 농산물이 제사장 즉 종교의 발달을 유발했다는 과거의 이론과 달리 최근에는 반대로 제사장이 필요에 의해 잉여의 식량을 공급받고, 이를 위해 농경이 발달했다는 이론이 있다. 작물 재배의 시작은 채취하던 식물류 중에 재생산이 가능한 곡물류 위주로 파종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가축의 사양도 비슷하게 이루어져 아마 가장 순한 동물들이.. 2023. 3. 22.
영농형 태양광 발전 2021/10/25 15:37 1. 태양광발전 농업, 장단점 Solar farm이라고 흔히 불리는 농업과 태양광 발전을 동시에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1981년 독일 물리학자에 의해서 처음 소개되었고, 2004년 일본의 나가시마 아키라가 솔라 쉐어링이라는 프로토타입을 도입했다*. 최근에는 Agrivoltaics 또는 agrophotovoltaics라고 한다. 일반적인 경작지 위에 지붕을 만들고 거기에 태양광판을 설치하고, 아래에는 적당한 빛이 투과되어 식물이 자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2030060641489&dbt=NART 초기부터 지금까지 제기되는 문제는 1)농업에 방해된다. .. 2023. 3. 22.
Uraria lagopodioides, 캄보디아 야생화 2021/11/05 08:37 Uraria lagopodioides (Linn,) Desv. Ex. Dc. 줄기가 60cm까지 자라는 콩과식물로 해발 900m이하의 남중국,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인니, 필리핀호주 등지에 서식한다. 그 때문인지 영어명은 없고 우리말로도 명칭이 없다. 캄보디아어로는 'កន្ទុយកំប្រុក 껀뚜이 깜쁘록' Medical Plants of Cambodia에 따르면 식물체 전체는 이질, 호흡계통, 류머티증, 발열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참고 http://tropical.theferns.info/viewtropical.php?id=Uraria+lagopodioides 2023. 3. 22.
캄보디아 기후변화 2021 2021/11/21 22:54 1. 캄보디아 기후현상 캄보디아는 고온의 열대기후로 몬순우기(5~10월)와 건기(11월~4월)의 두 계절로 나뉜다. 몬순우기에는 연중 강우량의 80~90% 비가 내린다. 2의 지역 구분에 따라 지역적으로 강우량은 1400~2000mm로 내린다. 평균기온은 전국에 걸쳐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나지만, 우기 직전에 32도의 최고 온도를 보이고 우기 중에는 25~27도를 나타낸다. 엘니뇨 현상으로 따뜻하고 건조하게 되고, 라니냐현상은 시원한 공기를 공급한다. 캄보디아 연평균 기온은 25~27이지만 최고 기온은 38도까지 올라가고 최저기온은 17도까지 떨어질 수 있다. 1960년대 이후로 10년마다 0.18도가 상승했다. 건기인 11~4월에는 급속히 상승하여 10년마다 0.20~0.2.. 2023. 3. 21.
[북한농업] 주요 작물별 재배시기 및 생산량 2021/11/30 22:22 자료출처 https://ipad.fas.usda.gov/countrysummary/Default.aspx?id=KN&crop=Corn 2021.11.30 20:04 검색 1. 재배시기 2. 작물별 생산량 2010-2021(2022)평균 1) 벼 : 481,000ha 1,555,000ton 4.98ton/ha (우리나라 5.2톤/ha) 2) 옥수수 : 540,000ha 2,400,000ton 4.47ton/ha (우리나라 5.14톤/ha) 3) 대두 : 151,000ha 228,000ton 1.5ton/ha (우리나라 1.8톤/ha) *주요 식량 작물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편은 아니지만 아무래도 산지가 많아 농지, 농기계, 비료 등의 부족으로 절대생산량이 부족할 것으로 생각된다.. 2023. 3.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