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81 세계 맥주 시장 2024 캄보디아는 술과 담배에 대해 관대하지만 올해 1월부터 주류의 옥외광고를 제한하고 있다. https://www.khmertimeskh.com/501520236/govt-moves-to-restrict-alcohol-ads/국민건강을 위한 이런 움직임은 반갑지만 술을 좋아하는 나로써는 주류세가 인상되지 않을까 걱정이 되기도 한다. 주류 광고 제한과는 달리 캄보디아에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맥주 제품이 생겨나고 있다. 세계적으로 맥주시장은 어떤지 RaboBank의 Gelobal beer market 2024 보고서를 살펴보자.1. 유럽에서 높은 비용 2023우러전쟁으로 인한 천연가스와 곡물의 높은 가격은 2022년에 즉각 반영되지는 않았지만 2023년에는 가격에 반영되었다. 뿐만 아니라 유럽과 북미에서 인건비 상.. 2024. 8. 31. [책] 평균의 종말 토드로즈, 평균의 종말, 21세기 북스, 2018, 구글전자도서최배근 교수의 '호모 엠파티쿠스가 온다', 야마구치 슈의 뉴타입의 시대에서 말하는 인간형은 21세기 초연결시대에 적합한 인간형이다. 틀에 박힌 사고를 벗어나고 사회규범이 만들어 놓은 방식을 거부하며 제대에서 만들어 놓은 매뉴얼을 따르지 않는 인간형을 말한다. 20세기까지 뛰어난 인간형은 규칙에 맞게 최선을 다해서 실적을 만들어 내고 주어진 매뉴얼을 완벽하게 따르는 사람을 일컫는다. 매뉴얼을 완벽히 따르게 되면 매뉴얼을 만들 수 있는 관리자형 인간이 되는데, 문제점은 조직내에서 아무리 매뉴얼을 습득하고 매뉴얼을 생성할 수 있더라도 해당 매뉴얼이 필요한 장소를 벗어나면 적응하기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평균의 종말은 이런 문제의 근본을 따져본 책이라.. 2024. 8. 29. Kohrong Sanloem, Sihanoukville 시하눅빌 꼬롱산로엠 시하눅빌주(Province)는 프놈펜에서 약 200km 떨어져 있는 항구도시로 고속도로가 생기기 전까지는 4번 국도로 5시간 걸리던 곳이었지만 고속도로가 생기고 나서는 2시간 30분이면 갈 수 있다.시하눅빌에는 여러개의 섬이 있지만 꼬롱과 꼬롱산로엠이 대표적인 관광지이다.1. 이동프놈펜에서 시하눅빌 여객항까지는 비락분탐의 VIP밴과 뚝뚝을 탔다. Virak Buntham Tourist Express(VTE)의 12인승 벤츠승합차는 1인당 15달러로 휴게소에 들리는 시간을 포함해서 3시간이 걸린다. 시하눅빌 여객항 인근 차고지에서 하차를 해서 뚝뚝을 타고 시하눅빌 여객항으로 이동했다.시하눅빌 여객항에서 꼬롱산로엠까지는 GTVC의 보트를 이용했는데 1인당 왕복 25달러이다. 내가 예약한 숙소는 Pearl R.. 2024. 8. 25. 한반도 벼 재배 이유 지난 주말에 친구가 유튜브를 하나 보고 한반도 벼 재배에 대해서 물어본게 있어서 다시 정리한다. 사실 이 논쟁은 이미 끝난 문제이고 농업 전공자라면 반문할 가치도 없는 주제이다. 특히 쌀농사라고 제목을 짓거나 언급을 하는 어떠한 매체라도 있으면 그냥 거르면 된다.벼농사이고 우리는 쌀을 가지고 밥을 지어서 먹는 문화권에 살고 있다. 벼, 쌀, 밥을 구분하지 않는 언어권도 많은데 대부분 벼농경 문화가 없는 경우다. 예를 들어 영어권에서는 Paddy (rice), Rice, Steamed Rice라고 한다. 한자로는 취반이라고 하는데 Steamed라는 말도 사실 한국과 일본의 밥짓는 모습과 동남아의 밥짓는 모습을 보면 정확히 맞아 떨어지지도 않는다. 한국 일본은 쌀을 불려 밥솥에 물과 함께 넣어서 (앉히다) .. 2024. 8. 12. 문명의 붕괴 재러드 다이아몬드, 문명의 붕괴, 김영사, 2005, 구글전자책700페이지가 넘는 책으로 전체를 다 읽기가 쉽지는 않을 수 있다. 그럴 경우 14~16장을 읽으면 된다.2장에서 과거 사회의 붕괴, 3부에서는 현대 사회의 위기를 다루고 있다. 과거 사회에서는 좁은 생활 터전과 풍족하지 않은 자원들로 인해 문명이 지속되지 못한다. 하지만 때로는 지도자의 올바른 결정이나 사회구성원의 노력으로 문명이 오래 지속되기도 하는데, 현실을 올바로 직시했을 경우다. 하지만 과거에서는 올바른 예측이 어렵고 지도자의 판단 착오로 문명이 붕괴한다. 현대사회에서는 붕괴 과정이 조금 다른데 호주의 경우 초기 정착자들의 착각으로 자원을 채굴하는 과정을 겪게 되어 자연환경이 파괴되게 되었다. 다행이 뒤늦게라도 문제점을 인지하고 사회.. 2024. 8. 1. 지구 면적의 농업 이용 지구 전체 표면적은 변화가 없지만 빙하기와 간빙기를 반복하면서 인간이 거주하고 농업이 가능한 땅의 면적은 천천히 변화한다.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급격한 기후온난화는 해수면을 상승시켜 거주 가능한 면적이 점차 줄어 들고 있다. 게다가 인구 증가로 숲의 면적도 감소하고 있다. 숲의 감소는 온난화를 가속시키기 때문에 기후위기를 직면한 지금 어떻게 지표면을 사용하고 있는지 지켜보는 것은 중요한 일이 된다.Our World in DATA에서 2024년 2월 16일 Half of the world’s habitable land is used for agriculture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와 있어서 내용을 정리해 본다.- 1000년 전에는 400만km2만 농업에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 이는 사용 가능한 농지면적의 .. 2024. 7. 31. 감귤, 밀감, 귤, 온주귤 귤 또는 감귤은 감귤나무의 열매로 운향과 Rutaceae 굴속 Citrus 감귤나무종 Citrus. reticulata 에 속한다.온주밀감은 밀감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중국 저장성의 원저우(온주 unshiu)가 원산으로 운향과 귤속 온주밀감종 Citrus unshiu에 속한다. 밀감은 감귤의 재배종으로 22% 정도의 포멜로 유전자가 포함돼 있다. 이 온주밀감은 1911년 제주도에 최초로 들어와 감귤나무의 효시가 되었으나 2019년 4월 고사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 http://www.jejuilbo.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748 제주 최초 온주밀감 결국 고사 '역사 뒤로' - 뉴제주일보1911년 제주도에 최초로 들어온 감귤나무의 효시인 온주밀감(미장온주)이 결국 고.. 2024. 7. 22. 프놈펜 행정구역과 인구변화 1. 인구 변동2024년 프놈펜 인구는 2,353,000명으로 1975~1979 크메르루지 정권을 제외하고 매년 약 3% 이상 증가하고 있다. 출처 https://www.macrotrends.net/global-metrics/cities/20357/phnom-penh/population Phnom Penh, Cambodia Metro Area Population 1950-2024Chart and table of population level and growth rate for the Phnom Penh, Cambodia metro area from 1950 to 2024. United Nations population projections are also included through the year .. 2024. 7. 14. 40대 중반에 퇴사할 결심 태어나서 대학졸업까지 사람은 본인 의지로 태어나지는 않지만 살면서는 스스로의 의지로 여러가지 결정을 해야하는 순간이 온다. 결정은 앞날을 좌우하게 되고 그 결과에 따라서 희비가 엇갈릴 수 있다. 나처럼 우리나라 같은 선진국에 중위소득의 집안에 태어나면 대학교에 진학할 때까지 큰 고민을 할 여유가 없다. 그저 공교육의 틀을 쓴 입시라는 제도 안에서 대학진학을 위해서 발버둥을 칠 뿐이다. 대학에 진학하고 나면 대부분은 동시에 성인이 되기 때문에 본인의 결정이 법적인 책임도 동반하게 된다. 어떤 수업을 들을지 어떤 진로로 갈지 결정하고 거기에 맞춰 학점, 언어, 외부 경험 등을 준비해야 한다. 물론 이조차도 가정이라는 집단에서 충분한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경우이고 그렇지 않으면 재원 마련을 위해 일을 해야할수.. 2024. 7. 9. 수탈형 농업과 생태농업의 갈림길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는 인구를 뒷받침 한 것은 녹색혁명이다. 화학비료의 발명과 육종학 그리고 유전공학으로 이어지는 녹색혁명은 식량생산을 비약적으로 증가시켜 지금의 인구를 먹여 살리는 것은 물론이고 가축의 먹거리까지 충분히 제공한다. 덕분에 우리 식탁은 풍성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먹거리를 매일 거르지 않고 먹을 수 있게 되었다. 물론 부자나라에 국한된 이야기지만.최근에는 수직농장이 만들어지고 있지만 농업과 축산은 생산환경이 물리적으로는 수평적이다. 밭을 이층으로 쌓아서 농사를 지을 수 없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생산성이 아무리 높아지더라도 더 많은 생산을 위해서는 더 많은 면적이 필요하다. 수직형 식물공장들이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되었지만 물리적 한계는 여전히 존재한다. 그래서 농산물 공급에 있어서.. 2024. 7. 6.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49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