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98

캄보디아 목화 캄보디아에 직물로 사용되는건 목화 뿐만 아니라 케이폭, 비단이 있다. 목화도 소규모로 바탐방 지역에서 재배되는데 유기농, 수작업으로 생산되다 보니 제품은 매우 비싸다. 작은 천이 160불이나 한다. https://www.em.gallery/cotton-blankets 목화는 아욱과 한해살이 풀로 180~210cm까지 자란다. 학명은 Gossypium indicum LAM이다. 비단이나 목화나 실을 뽑아 내는 과정은 유사한데 섬유질을 가늘게 이어 붙이면 실이 되고, 이것을 직조기로 날실과 시실로 엮으면 우리가 사용하는 천이 된다. 우리가 사용하는 실은 풀의 열매인데 열매가 비대해지고 숙성하고 나면 면모가 노출된다. 씨를 제거하고 열매(다래)를 모아서 실로 만든다. 문익점이 목화씨를 붓통에 넣어 도입했다는 .. 2024. 2. 4.
새로운 도전이라는 것은 어렵다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중인 하나인 인지장애(치매)는 여전히 치료약을 개발 중이다. 현상적으로는 기억을 끄집어 내 올 수 있는 경로가 막혀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노인이 아니더라도 질병이나 다른 원인으로 같은 증상을 겪을 수 있다. 많은 의학정보를 다루는 매체에서는 이 증상을 막기 위해서 뇌를 끊임없이 사용하라고 한다.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활동 뿐만 아니라 손발과 함께 신체를 꾸준히 사용하는 것 역시 대뇌에 자극을 줘서 뇌의 퇴화를 막으라고 한다. 나이가 들수록 건강이 나빠지고 몸을 움직이기 싫어진다. 혹은 육체 활동을 줄이면서 건강이 나빠질 수 있다. 서로 인과관계가 연속적이다. 육체 활동을 꾸준히 하라고 하지만 많은 수의 현대화되고 도시화된 공간에서 일상생활을 하는 도시민들은 많이 움직일 시간과 공간이 .. 2024. 1. 31.
고무나무를 활용한 바이오매스 발전 동남아시아 열대 지역은 연평균 온도가 높고 강우량이 많아 바이오매스 생산량이 많다. 늘어나는 전기 사용량에 대응하기 위해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열병합발전에 대한 연구가 많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단가가 낮아지고 있으며 화석연료사용 자제 노력으로 바이오매스 발전은 더 각광받고 있다. 과수는 수확 후 전지전정을 한다. 캐슈, 고무나무와 같은 수종들 역시 전지전정을 하기도 하지만 식재한지 25년 정도 지나면 수익성이 떨어지면서 벌채를 한다. 벌채된 나무는 화목, 톱밥, 펠릿, 우드칩 등 다양하게 사용된다. 태국의 연구자료를 보면 1Rai (0.16ha)에서 30톤의 고무나무 바이오매스가 생산된다. 1ha = 6.25 rai = 187.5톤 슬라브는 원목의 40%, 톱밥은 원목의 10%가 생산된다.. 2024. 1. 29.
생명이 지나간 자리 지구가 처음 생기고 뜨거운 용암이 식고 바다가 생기고 황화세균이 생겨났다. 식은 바다에서 융기한 바위를 균류가 분해하고 토양이 생겨나면서 식물이 자라나기 시작했다. 광합성을 시작하면서 녹색식물을 먹는 동물들도 생겨났다. 반대로 생명체가 그 한계를 다 하면 곤충들이 달려들어 분해를 시작하고 마지막에는 균류가 달려들어 흙으로 돌려 보낸다. 10살이 되었고 7년을 함께한 개가 죽었다. 새벽에 온기가 있어서 아직 숨이 붙어 있는 줄 알았는데 산책을 마치고 왔더니 온기가 식고 코에 개미가 붙어 있었다. 체온이 있고 활발할 때는 주인이 아닌 사람은 가까이도 가지 못했는데 온기가 채 다 가시기 전에 개미가 덤벼 들고 있다. 왔던 곳으로 다시 돌아가는 것이 자연의 올바른 이치가 맞다. 하지만 항상 그렇듯이 지난 시간을.. 2024. 1. 26.
[책] 감정의 발견 마크 브래킷, 감정의 발견, 북라이프, 2020.8.26, 구글전자책 감정을 올바르게 느끼고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작가는 설명하고 있다. 어릴 때의 경험을 기반으로 감정표현의 중요성을 풀어 설명하고 있는데, 문화권이 다르기 때문에 이런 감정 상태를 표현하는 것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문화의 차이는 있지만 어릴 때부터 감정을 숨기도록 훈련받고 성인이 되어서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상대방의 감정도 제대로 읽지 못하게 된다. 감정을 읽는데 부터 문제가 생기면서 지능 외에 감정능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게 되면서 개인의 능력도 제한적이게 된다. 이 책은 목차를 보면 내용이 대부분 추측된다. 예를 들어 1부(우리에게는 감정을 표현할 필요가 있다)의 목차를 보면 1장 - 감정을 표현하자. 감정은.. 2024. 1. 20.
캄보디아 고추 산업 현황 캄보디아 코피아센터에서 요청이 있어서 고추 관련 자료를 정리했다. 1. 종자와 품종 품종은 Bird's eye, Cayenne(카옌, Lady finger), Hawaii (sweet)이고 Cayenne이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종이다. 카옌고추품종은 Bird's eye 보다 길고 주고 요리나 건고추, 고추오일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태국으로 수출도 많이 된다. 5톤/ha의 수량성을 보이고 깜퐁츠낭, 깜퐁참, 뜨봉크뭄에서 많이 재배된다. 베트남이 경쟁자로 베트남산이 캄보디아를 거쳐 태국으로 수출된다. Bird's eye는 작지만 매우 맵고 바탐방에서 주로 재배되고 피클로 만들거나 현지 요리에 사용된다. 2톤/ha Sweet pepper(Hawaii)는 파일린, 반티에이민쩌이에서 주로 재배되고 10~17톤/h.. 2024. 1. 17.
캄보디아 전통 쌀국수, 놈번쪽, Cambodian traditional rice noodle, nom banh chok 2014-02-10 17:35:56 여러가지 캄보디아 전통음식이 있지만 주변국과 구분되는 음식 중 하나가 놈번쪽이다. 그래서 크메르 누들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국물의 정도에 따라 비빔면이 되기도 하는데, 일설에 따르면 이 놈번쪽을 먹은 중국 사신이 지금의 "뜨거운 고기 육수형 쌀국수"를 만들었다고 한다. 또 주변국의 비슷한 형태의 국수들도 여기서 파생됐다고 한다. 이 놈번쪽의 기원은 남부 해안지방인 깜폿이라고 한다. 쌀죽(보보), 쌀국수(꾸이띠우)와 함께 대표적인 아침음식이다. 물론 낮에도 파는 곳이 있지만, 주로 아침에 간단한 식사용이다. 가격은 내 기억에 최저 1,000리엘 (250원)까지 봤고 최근에 먹는 것은 4,000리엘이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쌀국수에 여러가지 채소를 넣고 그 위에 육수.. 2024. 1. 15.
농업인구와 생산성 변화 한 나라의 경제가 발달하면 농업에서 제조업 그리고 서비스업으로 업종이 분화된다. 그리고 농업종사자 수는 줄어들고 그 다음 산업의 인구가 증가한다. 농업의 총 GDP는 증가하지만 국가의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줄어들게 된다.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농촌인구를 도시화 이탈하고 부족한 인력을 대신해서 농기계가 그 자리를 메꾼다. 제조업이 농업보다 부가가치가 높기 때문에 GDP의 비중도 달라지게 된다. 농업인구 비중이 높은 상위 10개국과 G20 국가를 살펴봤다. 1991년 41%였던 농업인구는 2021년 26%로 감소했다. 1981년 농업생산(GDP)은 전세계 총 생산의 7.5%를 차지했지만 2022년에는 4.3%가 되었다. 농업인구 비중이 높은 부룬디, 마다카스카르 등 10개 국의 농업종사 비중은 86.. 2024. 1. 15.
2023년 Novel Farming Systems Agfundernews.com에서는 2023년의 유망한 Novel Farming Systems 20개사를 소개하고 있다. https://agfundernews.com/data-snapshot-from-insect-ag-and-vertical-farming-to-aquaculture-the-top-20-deals-in-novel-farming-systems-in-2023 Data snapshot: From insect ag and vertical farming to aquaculture… the top 20 deals in Novel Farming Systems in 2023 Funding in Novel Farming Systems—an AgFunder category spanning vertical f.. 2024. 1. 12.
캄보디아 고구마 생산과 시장 1. 생산 Sweet potatoes Year ha ton 100 g/ha 2012 10,428 48,754 46,753 2013 10,457 45,259 43,280 2014 9,114 43,138 47,333 2015 8,456 43,706 51,687 2016 9,342 44,035 47,134 2017 9,337 43,190 46,256 2018 9,045 43,644 48,251 2019 9,242 43,623 47,203 2020 9,208 43,486 47,226 2021 9,165 43,584 47,555 2. 지역별 수요 특성 유럽 중에서도 특히 스페인의 고구마 수입은 최근 몇 년간 큰 폭으로 급증했으면 2014년에서 2018년 사이 두배 이상 증가했고, 2020년까지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24. 1. 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