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99

유기농업, 기후변화 그리고 코로나 2020/11/08 19:22 COVID-19로 인간의 왕래와 생산활동이 줄어들자 대기는 깨끗해지고, 야생동물들이 더 자유롭게 인간의 영역으로 들어오고 있어서 역시 인간의 왕성한 활동은 자연환경에 해가 되는게 맞다. http://chongdowon.com/5934387 농업과 식량공급에 있어 무분별한 화학비료의 사용은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 관행농법과 유기농법이 늘 다투고 있지만 유기농업이 반드시 대안은 아니다. 생산성이 떨어지는 만큼 같은 면적에서 관행농법에 비해 충분한 식량을 생산하지 못하고, 탄소포집 능력도 떨어진다. 만약 현재의 전세계 재배면적을 전부 유기농으로 전환한다면 식량부족과 함께 가격 폭등사태가 일어날 것이다. 또 글로벌 무역시대에서 생산과정에서만 환경을 해치는게 아니라 운송과 재포장.. 2023. 3. 27.
기초 교육의 중요성 2020/11/17 09:45 캄보디아 공교육 중 미술에서는 색의 3요소, 음악에서는 7음계에 대한 과정이 없다고 한다. 의무교육을 하고는 있지만 아직까지는 문맹을 벗어나는데 치중하고 그나마 취약계층의 아이들은 학교에 가지 못하고 있다. 어제 회사 숙소에서 조리 담당하는 직원에게 감자를 쪄 달라고 하면서 흙이 뭍고 짙은 색의 감자를 줬더니, 이미 "다른 종류의 감자"를 찌고 있다고 했다. 모르는 단어로 말을 하길래 다시 물어봤는데도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래서 확인해 보니, 이미 찌고 있는 감자는 대형마트에서 구매한 호주산 세척감자였고, 내가 건냈던 감자는 중국산으로 추정되는 비세척 감자였다. 다시 물어보니 깨끗한 호주세척감자는 나무에서 따고, 흙 묻은 감자는 땅에서 캐는게 아니냐고 답문했다. 잠시나마 .. 2023. 3. 24.
[캄보디아]Knai Bang Chatt Hotel, 크나이 방 짯 호텔 2020/11/18 20:17 캄보디아 남부 해안 도시 껩(까엡)의 중심지인 게시장에서 도보로 5분 거리에 있는 크나이방짯호텔. 홈페이지에 보면 호텔의 시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다. 크나이방짯은 부처의 후광을 의미한다고 한다. https://www.knaibangchatt.com/ourstory/ 우선 호텔의 건물은 플랫하우스 형태로 한동씩 떨어져 있다. 그래서 건물 자체가 넓지 않고 공간이 실용적이지는 않다. 반면에 플랫하우스의 특징 중 하나가 공공도로를 평등하게 공유하는 것인데, 덕분에 바다 전망도 같은 면적만큼 공유한다. 물론 객실에 따라 나무나 다른 건물 때문에 조금씩 가리기는 한다. 꽤 넓은 부지에 호텔, 식당 건물이 있고 분리된 장소에 세일링클럽(식당)과 수상스포츠를 운영하는 사무소가 있다.. 2023. 3. 24.
양파와 샬롯의 차이 2020/11/19 11:19 양파는 속이 희고 크지만 샬롯은 붉은색을 띄고 알이 양파보다 작다. 이 둘은 모두 부추속에 속하는 식물로 부추속에는 이외에도 마늘, 염교(일본식 발음:락교), 산마늘, 산달래 등이 포함된다. 대체로 매운맛이 있거나 비늘형태의 뿌리를 가진 식물들이 모여있다. 부추와 양파의 꽃대를 보면 크기는 다르지만 유사하다. 샬롯와 양파는 향과 세포의 조직의 차이가 있다. 샬롯은 양파보다 조리시 카라멜라이즈가 잘 된다. 샬롯의 기원은 중앙아시아 또는 동남아시아에서 인도와 중동으로 전해졌다고 한다. 샬롯은 대표적으로 3종류가 있는데, French gray shallot, Hersey Shallot(미국에서 가장 흔한 품종), Echalion(일반 샬롯과 양파의 교잡종)이다. 출처 https:.. 2023. 3. 24.
김치의 참맛은 LA김치 2020/11/21 13:45 LA갈비 명칭의 유래에 대해서 여러가지 설이 있지만 그 중 하나는 갈빗대 하나씩 분리하는게 아니라 세로로 길게 lateral 로 잘라서 LA갈비라고 부른다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이렇게 자르는 방식은 이미 Flanken Style Ribs이라고 이전부터 있던 방식이다. LA 갈비의 명칭이 중요하게 아니고, 갈비를 이렇게 세로로 자르면 여러개의 갈비를 동시에 맛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암튼 자세한 설명은 https://www.fischerbros.com/pages/flanken-short-ribs-beef-spare-ribs) (이미지 출처 https://www.pxfuel.com/) 캄보디아는 건기, 우기 외에 특별한 날씨 변화가 없어서(또는 잘 안 느껴져서) 11월이 .. 2023. 3. 24.
캄보디아산 카카오로 만든 초콜렛 2020/12/25 18:41 캄보디아 몬돌끼리에는 작은 규모지만 카카오가 생산되고 있다. https://kamkavfarm.com/ 이제 시엠립에는 이 카카오를 받아서 초콜렛을 만드는 작은 공장이 생겼다. https://www.cacaotemple.com/ 카카오와 초콜렛의 품질이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지금까지 열대과일과 조잡한 공예품 밖에 없던 기념품 시장에서 이 지역에서는 이색적인 농산물과 이를 활용한 제품이 생겨서 좋은 기회로 보인다. 특히 샘플로 먹어본 오렌지초콜렛은 반쯤 말린 오렌지에 초콜렛을 입혀서 너무 달지도 않고 오렌지 특유의 신맛이 같이 있어서 일반 초콜렛보다 더 흥미로웠다. 2023. 3. 24.
운영체계의 개발 2020/12/12 13:32 회사라는 조직에서 한 개인이 뚜렷한 성과를 보여줄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조직의 구성원으로 설령 자리를 비우더라도 회사는 운영된다. 규모에 따라서 개인의 역량이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만 결국에는 만들어진 체계 속에서 굴러가는 톱니일 뿐이다. 대규모영농을 운영하는 회사에서 일하는 장점은 회사마다 차이는 있을 수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장기목표전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인의 역량과는 상관없이 똑같이 장기적인 안목으로 일을 할 수 있다. 그래서 나 역시 똑같은 톱니들 중 하나의 부품이지만 지금 하는 일의 가장 큰 매력은 운영체계의 개발에 있다. 대규모 영농을 이해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문헌을 보고 있는데 서구의 농장운영방식과 아시아의 운영방식은 문화와 사고방식의 차이에 있어 앞서나간.. 2023. 3. 24.
농업에 GIS 활용 2020/12/30 16:02 대규모영농 Plantation에 대해서 꾸준히 생각하고 있는데, 작은 규모의 농업도 같은 문제를 가지지만 규모가 커지면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시간과 노력이 훨씬 더 많이 들게 된다. 기업농이 되면 생산성이 최우선과제가 될 수 있는데 이를 잘 관리하기 위해서는 땅 위에서 일어나는 모든 행위에 대한 기록과 분석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통제가 불가능한 기상환경이라는 변수 역시 잘 기록해서 영농활동에 연계하여 생산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땅은 고정되어 있고 영농활동은 시간에 따라 누적되기 때문에 그래프로 그리자면 수평적 기록과 수직적 기록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다양한 DB도구가 있어서 수평적인 기록은 어렵지 않지만 이를 다시 수직적으로 내려다 보려면 GIS를 적용하는 것이 용.. 2023. 3. 24.
2019-2020 캄보디아 농업 연례 보고 2020/12/31 16:06 캄보디아어 판은 이미 3월에 나왔는데 영문판은 이제 나왔다. 돈이 없어서 못 만든다고 했는데 결국 만들긴 만들었나보다. Annual Report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9-2020 and Direction 2020-2021 이 내용은 2019년의 결과다. 1. GDP - 농업부문의 GDP기여도는 21%로 산업은 32.3%, 서비스는 39.1%를 차지 - GDP 기여도는 매년 감소했지만 총생산은 22,786백만리엘로 매년 상승 - 농산업분야별로 볼 때, GDP기여도는 작물 53.67%, 축산 11.11%, 수산 24.3%, 임업 6.91% 2. 비료, 농약 수입 - 235개 업체 등록, 95개 업체에서 1,515품목 취급, .. 2023. 3. 24.
농장 내 기상변화와 기후변화 예측 2021/01/04 16:15 여러번 말했지만 기후변화학과에 입학할 때까지만 해도 기후변화는 정치적 이슈라고 생각했고, 가장 재미있게 본 책이 기후변화의 정치학이었다. 지금도 국제기구들은 기후변화에 많은 돈을 쓰고 있는데, 그 모든 활동이 온전히 기후변화를 위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와는 별개로 2019년과 2020년 11월 12월 그리고 1월의 기상을 보면 평소에 느끼던 날씨가 아니란 것을 체감할 수 있었다. 지난 3년간 농장에 PWS를 설치하고 기상을 관찰했는데, 아쉽네 18개월만에 통신부품이 고장나서 강우량을 제외한 온습도와 일조량의 자료는 획득하지 못했다. 결과는 위의 표로 요약되는데, https://en.climate-data.org/asia/cambodia/ (2020년 9월 21일 15.. 2023. 3. 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