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97

[도서] 도둑맞은 집중력 요한 하리 지음 김하면 옮김, 도둑맞은 집중력, 어크로스, 2023이 책은 결론부터 봐야겠다. 구구절절 약 8장에 걸쳐서 집중력이 떨어지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는데 이미 다른 책에서도 많이 다룬 내용이다.우리가 소셜미디어에서 오래 머무는 것은 기업의 전략이이 때문에 기업이 바뀌지 않으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다. 개인이 능동적으로 알람을 끄거나 휴대폰을 무시하고 지내면 된다고 한다. 비만의 사례처럼 비만은 불량한 먹거리와 생활방식으로 인한 사회적 원인이 문제이다. 하지만 사회는 개인을 탓한다. 이 때문에 유럽 선진국은 비만을 이겨냈지만 미국은 아직 비만을 극복하지 못했다. 마찬가지로 SNS도 사회적 문제이기 때문에 개인의 노력보다는 유료화해서 접근을 기업이 능동적으로 통제하든가, 국유화해서 통제.. 2024. 10. 16.
캄보디아 쌀 품종 2014년에 벼 품종을 한번 정리한 적이 있는데 지난 10년 사이 캄보디아 쌀 수출 브랜드가 확정되고 수출을 위한 재배장려품종도 확정되어서 캄보디아 벼 품종을 다시 한번 정리한다. Phka Rumdol 프까룸둘은 프리미엄 향미품종으로 대표적인 수출 쌀이다. 룸둘은 캄보디아의 국화인데 쌀에서 이 꽃의 향이 나서 이름으로 지정되었다. 향과 맛, 식감이 좋아서 인기가 많지만 광주기민감성의 특징을 보여 6~7월 파종, 11~12월 수확이라는 재배의 시기적 한계가 있다. 이전에는 somaly소말리 품종이 많이 재배되었는데 현재는 룸둘로 많이 대체된 것 같다. 국가 주도의 품종 보급 체계가 취약하기 때문에 고급향미는 지역 정미소나 수출업체 주도로 품종이 보급되는데, 이들의 선호도에 따라서 룸둘이 재배되고 있다. 물.. 2024. 10. 14.
산업별 전기 사용량 지난 10월 10일 언론에서 우리나라가 에너지를 과소비한다고 소개되었다. (https://m.sedaily.com/NewsViewAmp/2DFIKK7WY8) 보자마자 이 기사는 또 전기세를 올리려고 하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면 인구당 소비량은 많을지 몰라도 실제로는 산업에 사용되는 비중이 높다. 다음의 우리나라와 한국의 분야별 전기사용량을 보자. 우리나라 전력 사용 비중을 보면 산업, 발전, 건물, 수송에서 각각 83%, 4%, 11%, 2%이다.(전력의 경우 1MWh=0.086toe 환산해서 적용)출처 : 산업통상자원부,「에너지사용량통계」, 2023, 2024.10.12, 부문별 에너지원별 소비실적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5&tblId=DT.. 2024. 10. 12.
프놈펜 아레이크삿 방문 오랜만에 프놈펜 아레이크삿에서 배를 타고 구경을 했다. 이곳은 원래도 중요한 지역인데 최근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 지역은 프놈펜 동쪽에서 껀달Province와 경계를 짓는 메콩강이 흐른다. 메콩강만 흐르는게 아니고 캄보디아 중부내륙뚠레삽호수에서 이어지는 뚠레삽강과 메콩강이 만나는 지점으로 폭이 1.5km에 이른다. (한강폭 1~1.5km) 이 강은 다시 메콩강과 바삭강으로 나뉘어져 메콩강은 호치민, 바삭강은 메콩델타지역으로 이어진다. 최근 내륙뱃길의 주도권을 다시 잡기 위해 캄보디아가 준비하는 운하가 이 바삭강과 연결된다. https://chongdowon.com/416 캄보디아의 인공 운하 프로젝트-푸난 테초 운하Funan Techo Canal2023년부터 메콩강과 캄보디아 남부해안지역을 잇는 운하가.. 2024. 10. 11.
곡물별 열량 요새 아침 식사를 할 때 베트남 쌀국수인 퍼Pho 혹은 분짜 Buncha를 먹을 때가 있는데 뭔가 애매하게 먹고 나면 배가 꺼지는 속도가 다르다. 그리고 수육 등을 해서 채소와 함께 밥 대신 라이스페이퍼를 먹으면 다음날 허기지는 경우가 많다. 쌀면이나 라이스페이퍼가 100% 쌀은 아니지만 카사바 전분이나 녹두 전분을 썼기 때문에 밥하고 열량 차이가 별로 없을 것 같은데 쌀 100%일 때와 열량차이가 있는 것 같다. 그래서 곡물별 열량을 확인해봤다. (퍼는 반죽을 칼로 써는 방식이고 분짜는 압출하는 방식이다. 칼국수와 메밀면의 차이로 보면 된다.)파스타는 듀럼밀로 만드는데 100그람당 열량을 보면 듀럼밀은 339 파스타는 157이다. 장립미가 123이고 쌀면은 108이다. 보통 쌀면은 장립종 쌀로 만든다... 2024. 10. 2.
[책] 고립의 시대책 노리나 허츠 저/홍정인 역 , 고립의 시대, 웅진지식하우스, 2021년 11월 19일, 구글전자책트럼프가 당선된 이유는 무엇인가? 공동체 인프라가 약하고 사외적 유대가 무너지고 시민들이 경제적인 불안을 느끼는 지역에서 특히 트럼프를 지지했다.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보인다. 온라인 공간에서는 일베, 오프라인에서는 특정 종교집단을 이끄는 지도자와 그 종교가 아닌 지도자를 믿고 따르는 수많은 사람들. 실제로 이 종교 지도자는 보수진영의 정치인들과 모종의 밀약을 맺기도 했다.작가는 책의 전반에 걸쳐 공동체가 무너지면서 사람들의 외로움이 극에 달하면서 올바른 민주주의가 실천되지 못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게 크게 공감하지만 한국사회만 보더라도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이전하면서 자연스럽게 마을 공동체는 무너졌.. 2024. 9. 30.
프놈펜에서 냐짱가기, Phnom to NhaTrang, 2024 비자 문제가 있어서 베트남에 잠시 들렀다 오기로 했다. 호치민은 자주 가서 볼게 없어서 가보지 않은 냐짱(나트랑 Nha Trang)까지 호치민에서 기차로 가 보기로 했다.1. VET air bus 비락분탐 에어버 (프놈펜-호치민 7시간) 코로나 이전까지는 Giant IBIS나 금호삼코를 많이 이용했는데 최근 비락분탐이 택배를 기반으로 엄청 성장하면서 여객도 많이 좋아졌다. 지난번 시하눅빌에 갈 때 워낙 만족도가 높아서 이번에 또 이용했다. 차를 탑승하면 물과 물티슈를 기본으로 준다. 그리고 오전 8시 45분에 출발해서 오후 3시에 도착하는 차편이다 보니 차에서 미리 주문을 받은점심도 제공한다. 커피나 차도 선택해서 마실 수 있다. 차량은 기본적으로 와이파이가 제공되지만 지방을 다니는 차량 특성상 인터넷이.. 2024. 9. 30.
아름다운 바닷가 마을 베트남 무이네 Mui ne - 볼거리 2013-04-18 16:35:242. 볼거리무이네에서 대표적으로 볼 것들은 거대한 사구가 사막의 모습을 보여주는 White Sand Dune 와 Red Sand Dune 이 있다. 그리고 요정의 샘, Fishing village 등이 있다.화이트샌듄은 엄밀히 말해서 무이네에 속하는 지역은 아니고 무이네에서 30km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하얀 빛깔의 사구이다. 여기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Jeep 투어를 하는데, 한 대의 차량을 쓰는데 30$이고, 앞서 말한 네 곳을 모두 들러준다.여행기를 찾아보면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바람이 워낙 많은 동네이기 때문에 사구를 관광하기 위해서는 적당하게 얼굴을 가릴 것들이 필요하다.지도상에서 A ~ D 표시한 곳이 해당하는 지점이다.A. Suoi Tien - 요정의 샘 F.. 2024. 9. 29.
아름다운 바닷가 마을 베트남 무이네 Mui ne, 위치 역사 교통 2013-04-17 13:22:08 캄보디아의 설명절로 무려 5일간의 연휴가 생겨서 베트남의 유명한 바닷가 마을인 무이네로 여행을 떠났다.제주도에 바람, 돌, 여자가 많다면 무이네는 바람과 모래와 러시아인이 많다고 할 수 있겠다. 1. 위치와 이동, 역사베트남 호치민시에서 동쪽에 위치한 Phan Thiết 빈투언 성의 한 마을이다. 시외버스를 타고 빈투언까지 간 다음 무이네로 이동해도 되지만 호치민에서 간단하게 직행버스표를 구입했다.여러 여행사에서 버스를 운영하고 있는데 그 중 ShinTourist에서 티켓을 끊었다.1시 45분에 출발해서 7시에 도착했다. 돌아올 때는 Sleeping 버스를 이용했는데, 1시 30분에 출발해서 6시에 도착했다.Mui ne 는 두가지 의미가 있는데, 하나는 배가 피할 수 .. 2024. 9. 29.
Saigon Zoo and Botanical Gardens, 호치민 동식물원 2017-04-17 15:45:39베트남 남부도시 호치민에 있는 사이공 동식물원. 여러번 호치민을 갔지만 한번도 가 본 적이 없어서 이번에 가봤다. 마침 열대식물 정리 중이어서 자료 사진도 찍을 겸 시간을 넉넉히 잡고 방문했다. 남부의 프랑스 식민지 시대가 시작될 시기인 1865년 개장한 동식물원으로 이미 150년이나 됐다. 20ha 의 부지에 수백종의 포유류, 새, 열대작물 등이 있다. 그래서 규모로는 아시아에서 6번째라고 한다.2013년까지 입장료는 12천동이었고 현재는 5만동(약 3천원)이다. 하지만 입장객은 줄지 않고 있다고 한다. 이렇게 입장료가 오른 것은 2014년 부터 호치민시 관할에서 벗어나 독자운영을 하게 되었기 때문이다.이 동식물원의 특징은 크게 두가지로 생각되는데 한가지는 공원형태로 .. 2024. 9. 29.
728x90